결혼축하금 지원금 안내: 지역별 정보 총정리



결혼축하금 지원금 안내: 지역별 정보 총정리

결혼과 출산이 줄어드는 현상을 감안하여, 각 지자체에서 결혼축하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부산, 경상도, 전라도, 광주, 충청도, 경기도, 강원도, 대전 등 다양한 지역의 결혼축하금 지원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부산 결혼축하금

수영구 결혼축하금

부산에서는 수영구에서만 결혼축하금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2022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저소득층 및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차상위계층이 대상입니다. 혼인신고 전 1년 이상 수영구에 거주해야 하며, 지원금은 1인당 200만원입니다. 부부 모두 수영구 거주 시 4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행복복지센터에서 가능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경상도 결혼지원금

각 시군별 지원금

경상도는 여러 지역에서 결혼축하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지역 대상 결혼지원금 신청방법
성주군 혼인신고일 기준 1년 내 성주군에 주소지를 둔 부부 500만원 각 군청이나 읍면 사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봉화군 예식일 현재 등본에 봉화군 등록 300만원 각 군청이나 읍면 사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영천시 혼인신고 0일 이내 부부 모두 전입신고 300만원 각 군청이나 읍면 사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산청군 혼인신고일 기준 부부 모두 6개월 이상 실거주 300만원 각 군청이나 읍면 사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창녕군 혼인신고일 기준 1명 이상 3개월 이상 거주 200만원 각 군청이나 읍면 사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사천시 혼인신고 후 6개월 이상 실거주 100만원 각 군청이나 읍면 사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전라도 및 광주 결혼축하금

김제시와 장수군

전라도에서는 김제시와 장수군이 결혼축하금을 지원합니다. 김제시는 혼인신고 기준 전후 1년 이상 거주 시 1,000만원을 4회에 나눠 지급하며, 장수군은 2년 이상 거주 시 1,000만원을 3년에 나눠 지급합니다. 전라남도 전체는 혼인신고일로부터 6개월 이상 거주 시 2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광주는 별도의 결혼축하금이 없습니다.

경기도, 강원도, 대전 결혼지원금

경기도

경기도에서는 여주만 지원이 가능하며, 부부 중 1인 이상 관내 주소를 두고 혼인신고 및 거주 시 1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강원도

강원도 영월에서는 300만원을 지원합니다.

대전

대전에서는 만 39세 이하의 경우, 2024년 이후 결혼하고 대전에 거주하면 500만원을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각 지역의 결혼지원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해당 시군구청이나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결혼축하금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각 지역의 행복복지센터나 시군구청에 방문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결혼축하금은 누구에게 지급되나요?

주로 초혼인 경우에 해당하며, 지원금은 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결혼축하금은 얼마나 되나요?

지역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부산 수영구에서는 최대 40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결혼축하금을 여러 번 받을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초혼인 경우에만 지급되며, 재혼의 경우 지원금 지급이 불가능합니다.

각 지역별 지원금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각 지역의 시청이나 구청 홈페이지에서 지원금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일본 여행 필수 아이템, 스이카 카드 발급 및 활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