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경기도 농어민에게 큰 기회가 될 것입니다. 경기도는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는 이들을 위한 복지 및 지원 정책을 대폭 확대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농어민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주요 지원 정책 세 가지를 소개합니다.
농어민 기회소득 지급
지원 내용
2025년부터 경기도는 농민기본소득 제도를 ‘농어민 기회소득’으로 통합하여 운영합니다. 이 제도는 농촌과 어촌의 공익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역화폐로 매달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지원 대상
- 청년 농어민: 만 50세 미만(40~50세는 10년 이내 경영체 등록 필요)
- 귀농·귀어인: 전입 후 5년 이내
- 친환경 농어민: 친환경 인증 및 동물복지 인증 보유
- 일반 농어민: 1년 이상 거주 및 영농, 농외소득 3,700만 원 미만
지급 금액
| 유형 | 월 지급 금액 | 지급 방식 |
|---|---|---|
| 청년·귀농·환경형 | 15만 원 | 시·군 지역화폐 |
| 일반 농어민 | 5만 원 | 시·군 지역화폐 |
💡 주의: 지급된 지역화폐는 180일 이내 사용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됩니다.
어업활동 지원
대체 인력 지원
어업 중단으로 인한 대체 인력의 인건비를 지원하는 제도도 있습니다. 예기치 못한 사고나 질병 등으로 인해 어업 활동이 중단될 경우 경기도가 지원합니다.
지원 조건
- 질병·부상으로 1주 이상 요양 필요 시
- 3일 이상 입원 치료 시
- 임신부 및 출산 후 3개월 이내
- 최근 6개월 이내 중증질환 통원 치료 받은 경우
지원 금액
1일 최대 12만 원, 가구당 연간 30일 한도이며, 중증질환 및 출산 등 일부 사유는 연간 60일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귀농·귀촌 자금 지원
지원 내용
도시를 떠나 농촌으로 새 삶을 시작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한 귀농·귀촌 자금 지원도 강화되었습니다.
| 항목 | 한도 | 이자율 | 상환 조건 |
|---|---|---|---|
| 농업 창업 자금 | 3억 원 | 연 2.0% (고정) | 5년 거치 10년 분할 |
| 주택 구입 자금 | 7,500만 원 | 동일 | 동일 |
| 농어촌 주택 개량 | 최대 2.5억 원 | 동일 | 동일 |
신청 방법
주소지 농업기술센터나 시·군청 농정과를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농어업은 지역사회의 근간이며, 생명 산업입니다. 경기도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자격이 되는 지원을 놓치지 않도록 하세요. 많은 분들이 자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기회에 꼭 확인해보시고 주변에도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농어민 기회소득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농어민 기회소득 신청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간편 자격 조회 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문2: 대체 인력 지원은 어떤 경우에 받을 수 있나요?
대체 인력 지원은 질병, 부상, 임신, 출산 등으로 인해 어업 활동이 중단될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문3: 귀농·귀촌 자금은 어떻게 신청하나요?
귀농·귀촌 자금은 주소지 농업기술센터나 시·군청 농정과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질문4: 지원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각 지원금은 신청 후 심사를 거쳐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지급됩니다.
질문5: 지역화폐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지급된 지역화폐는 시·군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180일 이내에 사용해야 합니다.